정부 복지사업의 기준이 되는 기준중위소득이 25년에 6.42%로 역대 최대치로 인상되었습니다. 2025년 기준중위소득 기준 및 계산 (건강보험료, 소득하위 기준 200% 180% 150% 120% 100% 80% 75% 72% 70% 65% 60% 50% 48% 47% 45% 40% 32%) 등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5 기준중위소득
기준 중위소득은 모든 가구를 소득 순서대로 줄 세웠을 때 중간에 해당하는 값으로, 기초 생활보장 및 복지 급여 등의 정부 지원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를 기준으로 609만7773원으로 결정되었는데요. 이는 2024년보다 6.42% 인상된 금액입니다.
2025 급여별 선정기준
교육급여,주거급여, 의료급여, 생계급여의 지급 기준이 되는 소득입니다.
비율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교육급여 (50%) | 1,196,007 | 1,966,329 | 2,512,677 | 3,048,887 | 3,554,096 | 4,032,403 |
주거급여 (48%) | 1,148,166 | 1,887,676 | 2,412,169 | 2,926,931 | 3,411,932 | 3,871,106 |
의료급여 (40%) | 956,805 | 1,573,063 | 2,010,141 | 2,439,109 | 2,843,277 | 3,224,921 |
생계급여 (32%) | 765,444 | 1,258,450 | 1,608,113 | 1,950,487 | 2,274,621 | 2,580,737 |
2025 기준중위소득 계산
기준 중위소득을 계산하는 방법은 통계청이 공표하는 통계자료의 가구 경상소득(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을 합산한 소득을 말함)의 중간값에 최근 가구소득 평균 증가율, 가구규모에 따른 소득수준의 차이 등을 반영합니다(「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6조의2제1항).
- 기준 중위소득 = 가구 경상소득의 중간값에 최근 가구소득 평균 증가율, 가구규모에 따른 소득수준의 차이 등을 반영
- 가구 경상소득 = 근로소득 + 사업소득 + 재산소득 + 이전소득
쉽게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모의계산을 해볼 수 있습니다. 머리아프게 직접 계산하지 마시고 모의계산으로 간편하게 계산해보시길 바랍니다.
기준중위소득 100%
인원 | 금액 |
1인 | 2,392,013 |
2인 | 3,932,658 |
3인 | 5,025,353 |
4인 | 6,097,773 |
5인 | 7,108,192 |
6인 | 8,064,805 |
기준중위소득 200%
기준중위소득 200% 기준입니다.
인원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금액 | 4,784,026 | 7,865,316 | 10,050,706 | 12,195,546 | 14,216,384 | 16,129,610 |
기준중위소득 180%
기준중위소득 180% 기준입니다.
인원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금액 | 4,305,623 | 7,078,785 | 9,045,636 | 10,975,992 | 12,813,346 | 14,516,649 |
기준중위소득 150%
기준중위소득 150% 기준입니다.
인원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금액 | 3,588,020 | 5,898,987 | 7,538,030 | 9,146,660 | 10,662,288 | 12,097,208 |
기준중위소득 120%
기준중위소득 120% 기준입니다.
인원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금액 | 2,870,416 | 4,719,190 | 6,030,424 | 7,317,328 | 8,529,830 | 9,777,766 |
기준중위소득 80%
기준중위소득 80% 기준입니다.
인원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금액 | 1,913,610 | 3,146,126 | 4,020,282 | 4,878,218 | 5,686,554 | 6,451,844 |
기준중위소득 75%
기준중위소득 75% 기준입니다.
인원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금액 | 1,794,010 | 2,949,494 | 3,769,015 | 4,573,330 | 5,331,144 | 6,048,604 |
기준중위소득 72%
기준중위소득 72% 기준입니다.
인원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금액 | 1,721,049 | 2,831,514 | 3,618,254 | 4,390,395 | 5,117,898 | 5,805,060 |
기준중위소득 70%
기준중위소득 70% 기준입니다.
인원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금액 | 1,674,409 | 2,752,861 | 3,517,747 | 4,268,441 | 4,975,734 | 5,645,364 |
기준중위소득 65%
기준중위소득 65% 기준입니다.
인원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금액 | 1,554,808 | 2,556,228 | 3,266,479 | 3,963,552 | 4,620,325 | 5,241,123 |
기준중위소득 60%
기준중위소득 60% 기준입니다.
인원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금액 | 1,435,208 | 2,359,595 | 3,015,212 | 3,658,664 | 4,264,915 | 4,836,883 |
기준중위소득 50%
기준중위소득 50% 기준입니다.
인원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금액 | 1,196,007 | 1,966,329 | 2,512,677 | 3,048,887 | 3,554,096 | 4,032,403 |
기준중위소득 48%
기준중위소득 48% 기준입니다.
인원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금액 | 1,147,166 | 1,888,676 | 2,412,169 | 2,927,933 | 3,412,932 | 3,871,106 |
기준중위소득 47%
기준중위소득 47% 기준입니다.
인원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금액 | 1,123,246 | 1,849,850 | 2,361,916 | 2,867,456 | 3,342,850 | 3,790,457 |
기준중위소득 45%
기준중위소득 45% 기준입니다.
인원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금액 | 1,076,406 | 1,769,696 | 2,261,409 | 2,743,998 | 3,198,686 | 3,629,162 |
기준중위소득 40%
기준중위소득 40% 기준입니다.
인원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금액 | 956,805 | 1,573,063 | 2,010,141 | 2,439,109 | 2,843,277 | 3,224,921 |
기준중위소득 32%
기준중위소득 32% 기준입니다.
인원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금액 | 765,444 | 1,258,450 | 1,608,113 | 1,950,487 | 2,274,621 | 2,580,737 |
이와 같이 2025년 기준 중위소득과 각 비율별 소득 기준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각 급여의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고,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신청 절차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디딤씨앗통장 신청 방법 및 대상 (아동통장 1:2 매칭 기초생활수급아동)
디딤씨앗통장 사업은 위탁가정과 아동양육시설 등에서 자라고 있는 보호대상아동과 기초생활수급가구 등 저소득아동이 사회에 진출할 때 빈곤의 대물림을 최소화하고 사회진출의 초기비용을
super-joo.tistory.com
취약계층 통신요금 할인 신청 방법 및 대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저소득층 국가
보건복지부에서는 통신3사인 SKT, KT. LGU+와 함께 취약계층의 통신요금 부담을 줄여주는 통신요금 감면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취약계층 통신요금 할인 신청 방법 및 대상 (기초생활수급자 차
super-joo.tistory.com
취약계층 농식품바우처 10만원 신청 방법 및 대상, 사용처 (과일, 채소, 야채, 저소득층)
저소득 취약계층의 보충적 영양 지원, 국내산 농산물 소비체계 구축으로 농가경제 활성화 기여를 위한 농식품바우처가 2025년부터 전국으로 확대 지원됩니다. 취약계층 농식품바우처 10만원 신
super-joo.tistory.com
전남 저소득 취약계층 친환경 보일러 지원 신청 방법 및 대상 (60만원 지원)
전라남도에서는 저소득층, 취약계층의 난방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가정용 친환경 보일러 635대를 보급합니다. 전남 저소득 취약계층 친환경 보일러 지원 신청 방법 및 대상 (60만원 지원) 등 자
super-joo.tistory.com
하나은행 청년 고령층 생활안정자금 20만원 신청 방법 및 대상 (하나은행 금융취약계층 지원)
하나은행에서는 금융취약계층을 위해 여러자기 자율 프로그램을 시행합니다. 청년과 고령층에게 생활안정자금 20만원을 지원하는데요. 하나은행 청년 고령층 생활안정자금 20만원 신청 방법 및
super-joo.tistory.com
금융 통신 통합 채무조정 대상자 확인 및 신청 방법 (연체된 통신비 소액결제 취약계층)
정부는 통신채무와 금융채무의 동시 산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들을 위해 금융-통신 통합채무 조정 제도를 추진합니다. 금융 통신 통합 채무조정 대상자 확인 및 신청 방법 (연체된 통신비
super-joo.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