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대통령 선거, 대선이 25년 ?? 에 실시됩니다. 대선 당일에 투표가 어려운 분들을 위해 사전투표소가 2일간 열립니다. 사전투표소 장소 찾기 (21대 대통령 선거, 25년 대선 사전투표 일정) 등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전투표소 장소 찾기
사전 투표 일정 | ?? |
사전투표 장소 찾기 | 홈페이지 (바로 연결) |
21대 대통령 본 선거인 ??에는 자신의 주민등록이 된 주소지를 기준으로 투표 장소가 정해집니다. 하지만 사전투표소는 전국 어디에서든지 투표를 할 수가 있는데요. 주소지에서 떨어져서 있는 경우, 불가피하게 대선 당일에 투표를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전투표소를 이용하셔서 미리 투표를 하시면 됩니다.
사전 투표소 장소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쉽게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전국의 약 3500곳의 사전투표소가 열릴 예정이며 선거 실시 지역의 읍, 면, 동마다 1곳씩 설치가 될 예정입니다.
사전 투표 방법
사전 투표 방법은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을 가지고 사전투표소를 방문하시면 되는데요. 별도의 신고 없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가셔서 투표를 할 수 있습니다. 본인 주소지의 투표소를 방문한 경우 관내선거인에 줄을 서면 되고, 다른 지역 투표소에 간 경우 관외선거인에 줄을 서셔서 투표를 하시면 됩니다.
관내 선거인은 투표용지를 받아 기표를 한 후 바로 투표함에 넣으면 되지만, 관외선거인은 회송용 봉투를 같이 받게 됩니다. 투표 후 기표소 안에서 회송용 봉투에 투표 용지를 넣고 봉한 다음, 봉투채 투표함에 넣으면 됩니다.
- 사전 투표소 찾기
- 신분증 지참하여 투표소 방문
- 관내 : 신분증 제출하여 투표용지 받은 후 기표 후 투표함에 투입
- 관외 : 투표용지와 회송용 봉투 받은 후 기표 후 회송용 봉투 안에 투표용지를 넣고 봉한 후 투표함 투입
사전투표 주의사항
21대 대선 사전투표시 주의사항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앞서 설명 드린것처럼 투표를 하기 위햇는 반드시 신분증 (주민등록증, 복지카드, 운전면허증, 학생증 등)을 지참해야 합니다.
투표소로 입장 후 본인확인을 하고 서명을 한 뒤에 투표용지를 받게됩니다. 다른 동네에서 투표를 할 경우에는 봉투도 함께 받게 됩니다. 투표용지에 기표용구를 찍고, 기표 후에는 투표지를 반으로 접습니다. 다른 동네에서 투표할 경우 봉투에 넣고 입구를 붙여준다음 투표지를 투표함에 넣으면 됩니다.
기표시에는 연필, 펜 등의 사용이 불가하며 반드시 기표용구로 찍어야 합니다. 투표용지에 기표용구를 딱 한번만 찍어야 하며, 네모 칸 안에 정확히 찍어야 합니다.
또한 투표소 안에서 사진 촬영은 금지되어 있으며 본인의 기표 결과를 발설해서는 안됩니다.
민주주의에서 선거는 국민의 권리이자 의무입니다. 대통령 선거 투표에 꼭 참여하여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하는데 기여해주세요.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공약 확인하기 (이재명 한동훈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공약 찾기) (0) | 2024.12.09 |
---|---|
21대 대통령 선거 투표 신분증 종류는? (대선 모바일 신분증, 여권, 운전면허증, 유효기간, 사전투표소) (0) | 2024.12.09 |
내 투표소 찾기 (25년 대선 21대 대통령 선거 투표장소, 사전투표소 조회) (0) | 2024.12.06 |
대선후보 한동훈 장점 단점 분석 (국민의힘 한동훈대표) (0) | 2024.12.05 |
윤석열 대통령 탄핵 후 차기 대통령 선거 일정 및 권한대행 (0) | 2024.1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