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의 만 19~ 39세 청년 노동자를 위한 결혼자금 적금이 지원됩니다. 경북 사랑채움통장 신청 방법 및 대상 (청년근로자 적금 포항 울릉 경주 김천 안동 예천 구미 영주 영양 봉화 영천 청도 상주 문경 경산 의성 청송 영덕 울진 고령 성주 칠곡 군위) 등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경북 사랑채움통장
경북사랑채움통장 | 월 15만원 적금 |
온라인 신청 | 홈페이지 (바로 연결) |
경북에서 청년근로자 사랑채움사업이 시행됩니다. 청년이 2년동안 360만원을 저축하면 지자체등이 저축액의 약 2배인 700만원을 지원하여 목돈을 마련하도록 도와주는데요. 저출산 고령화 상황속에서 청년들의 결혼 자금을 지원해 지역에 오래 머물도록 하기 위한 취지로 시행됩니다.
경북 사랑채움통장 대상
경북 사랑채움통장 대상은 만 19~ 39세의 미혼 청년 노동자로 주민등록지 내 지역 중소,중견기업에 주 30시간 이상, 3개월 이상 재직중인 연봉 4천만원 이하의 노동자입니다. 예로, 경북 울진이 주소지일 경우 울진 내의 기업에서 근무해야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만 19~39세 미혼 청년 노동자
- 주민등록지 내 지역 중소, 중견기업에 주 30시간 이상, 3개월 이상 재직중인 연봉 4천만원 이하의 노동자
경북 사랑채움통장 신청 방법
경북 사랑채움통장 신청 방법은 청년e끌림 홈페이지 또는 경북일자리종합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선발 결과는 4월 30일에 고지될 예정입니다. 신청기간은 3월 18일 ~ 4월 5일까지 입니다.
- 신청기간 : 3.18 ~ 4.5
- 청년e끌림 홈페이지 신청 (https://gbyouth.co.kr/)
- 경북일자리종합센터 홈페이지 신청 (http://www.gbwork.kr/)
경북 사랑채움통장 상세 정보
선발된 청년은 적금 통장인 ‘사랑채움통장’에 매달 15만원씩 2년간 총 360만원을 저축하면 됩니다. 이후 경북도와 시군에서 함께 분기별로 175만원씩 총 700만원을 지원합니다.
다만 지원금을 받기 위해선 적금 가입 후 최소 19개월 이상 지역 기업에 재직해야 하며 적금 가입 후 재직 기간이 18개월 이하이거나, 타 지역으로 이직할 경우 지원금은 지급되지 않습니다.
19~21개월 이하로 재직시엔 지원금의 50%인 350만원, 22~23개월 이하일 경우 80%인 560만원이 지급됩니다.
적금 가입 기간인 2년 만기를 채우고, 적금 가입 후 재직기간이 2년 이상일 경우에만 지원금 전액인 700만원과 이자를 받을 수 있으며 중도에 지원금만 받고 적금을 해지하는 부정 수급 사례를 막기 위해서입니다. 적금을 만기 해지한 청년은 본인 적립금 360만원의 3배가량인 1060만원을 수령할 수 있게 됩니다.
2024 소득하위 기준 (기준중위소득 건강보험료 32% 40% 45% 47% 48% 50% 60% 65% 70% 72% 75% 80% 100% 120% 150% 180%
정부 급여 지원 등의 지원금은 소득하위 기준에 따라 지급하게 됩니다. 기준중위소득 및 건강보험료를 기반으로 소득하위 기준을 설정하는데요. 2024 소득하위 기준 (기준중위소득 건강보험 32% 4
super-joo.tistory.com
청년도약플러스적금 신청 방법 및 대상 (1년 만기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청년층의 적금 공백 해소를 위해 1년 만기 적금 상품인 청년도약플러스적금을 출시합니다. 청년도약플러스적금 신청 방법 및 대상 (1년 만기 청년도약계좌) 등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
super-joo.tistory.com
일자리 채움 청년지원금 신청 방법 및 대상 (최대 200만원)
최근 청년 취업난이 심화되는 가운데, 업종에 따라 인력 수급이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빈일자리 업종에 취업할 경우 200만원의 일자리 채움 청년 지원금을 지급하는데요. 일자
super-joo.tistory.com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 조건 및 대출 대상 총정리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주택담보대출)
청약통장은 예전부터 청년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지만, 최근에는 그 인기가 시들해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정부는 청약통장의 업그레이드 버전을 발표하였는데요.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super-joo.tistory.com
디딤씨앗통장 신청 방법 및 대상 (아동통장 1:2 매칭 기초생활수급아동)
디딤씨앗통장 사업은 위탁가정과 아동양육시설 등에서 자라고 있는 보호대상아동과 기초생활수급가구 등 저소득아동이 사회에 진출할 때 빈곤의 대물림을 최소화하고 사회진출의 초기비용을
super-joo.tistory.com
'복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진구 소상공인 특별융자 신청 방법 및 대상 (광진 자영업자 대출 한도 금리) (0) | 2024.03.25 |
---|---|
문경시 신입생 입학준비금 30만원 신청 방법 및 대상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신입생) (0) | 2024.03.21 |
서울 청년문화패스 20만원 신청 방법 및 대상, 사용법 (20~23세 소득 나이 주거) (0) | 2024.03.21 |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70만원 신청 방법 및 대상, 사용처 (누리집 홈페이지 바로가기) (0) | 2024.03.21 |
신용정보원 온라인 신청 시스템 (소상공인 이자 환급 캐시백 150만원) (0) | 2024.03.21 |
댓글